결핵에 대한 오해 6가지 (한국은 OECD 국가 중 결핵 발병률 1위 사망률 2위!)

결핵을 더 이상 옛날에나 걸렸던 병으로 인식해선 안 됩니다. 우리는 결핵과 끝나지 않는 전쟁을 계속 치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결핵 발병률 1위와 사망률이 2위로 ‘결핵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결핵에 대한 오해 6가지를 짚어보겠습니다.

1. 결핵에 대한 오해 첫 번째: 노인들만 걸린다?

결핵레 대한 오해

아닙니다. 결핵은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감염이 됩니다. 우리나라가 결핵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결핵의 발병 과정이 독특하기 때문입니다. 결핵환자 주위에 있던 사람이 결핵균에 감염되면 바로 결핵이 발생하지 않고 불특정 기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면역력이 떨어질 때 발병합니다.

그리고 이전과 달리 학생들이 과거에 결핵에 결핵에 걸린 적이 없고, 신체활동도 적어서 면역력이 떨어진 점, PC방이나 극장 등의 다중집합 장소에 결핵균에 노출되기 쉬운 점도 연령대를 가리지 않는 주된 이유입니다.

2. 결핵에 대한 오해 두 번째: 결핵환자와 같이 있으면 무조건 감염된다?

결핵균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결핵환자와 접촉한 사람 중 대략 30%에서 결핵 감염이 발생합니다. 면역은 우리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 면역(자연 면역 또는 자연 치유력)과 감염이나 백신 예방 접종 등을 통해 얻는 후천 면역(획득 면역)으로 나뉩니다.

결핵균이 호흡기를 통해 폐로 들어오면 면역력이 강한 건강한 사람들은 선천 면역으로 결핵균을 제거해 버립니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선천 면역으로는 역부족이어서 이차적으로 후천 면역 시스템이 가동되어 결핵균을 제거하거나 억제해 버립니다.

결핵 감염검사에서 음성의 의미는 결핵균이 선천면역에서 제거 되었음을 의미하고, 양성의 의미는 후천면역이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결핵환자와 접촉한 사람 중에서 어떤 사람이 선천 면역이 약해서 후천면역이 발생하는지 예측하기는 아직 어렵다고 합니다.

3. 결핵에 대한 오해 세 번째: 결핵 예방백신(BCG)를 접종하면 평생 안 걸린다?

아닙니다. BCG는 결핵을 100% 예방하지 못합니다. BCG의 효과는 10년에서 15년 정도 유지됩니다. 즉 BCG의 주목적은 신생아와 어린이의 결핵 예방입니다. BCG 접종으로 평생 결핵에 안 걸린다는 안이한 생각은 버려야 합니다.

4. 결핵에 대한 오해 네 번째: 결핵에 걸렸다가 나으면 자동으로 면역이 생긴다?

결핵

아닙니다. 결핵에 걸렸다가 회복한 사람도 다시 걸릴 수 있습니다. 몸 안에 살아남은 결핵균이 나이가 들어 면역력이 떨어지면 결핵균이 다시 활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잠복 결핵’이라고 하는데 잠복 결핵 환자 중 10%는 결핵으로 발전될 수 있다고 합니다.

5. 결핵에 대한 오해 다섯번째: 결핵약 먹다가 증상이 줄어들면 안 먹어도 된다?

아닙니다. 최소 6개월은 결핵약을 먹어야 완치됩니다. 만약 복용 후 1~2개월 뒤 증상이 호전되어서 복용을 중단하면 ‘다제내성 결핵’이라고 해서 기존 결핵약에 내성이 생기는 난치성 결핵으로 발전될 수 있습니다. 절대 결핵약을 먹다가 중단해선 안 됩니다.

6. 결핵에 대한 오해 여섯번째: 결핵환자는 수건과 식기, 물건 등을 따로 써야 한다?

결핵균

아닙니다. 이 부분이 우리가 가장 잘못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 결핵균의 전파는 대부분 결핵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 등 공기로 전염되는 것이지 물건의 접촉에서 전염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폐결핵은 공기로 전염되기 때문에 음식을 따로 먹거나 키스나 성관계를 한다고 해서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7. 자주 묻는 질문(FAQ)

결핵균
  • 결핵 예방 수칙은 무엇인가요?
    우선 기침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고 체중이 줄어들면 결핵 검진을 해야 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할 때는 휴지나 손수건으로 반드시 입과 코를 가려야 합니다.
    휴지나 손수건이 없으면 옷소매 위쪽으로 가려야 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 후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합니다.
    꾸준한 운동, 균형 있는 영양섭취, 실내 환기를 자주 시키는 등 생활 위생도 신경 써야 합니다.
  • 결핵 진단 방법은 무엇인가요?
    흉부X선 검사로 결핵이 의심되면 가래(객담)검사를 실시합니다. 가래검사에서 결핵균이 검출되면 결핵으로 진단합니다.
  • 결핵을 진단하는 의료기관 검색은 어디에서 할 수 있나요?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의료기관 검색 외에도 결핵 관련 정보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