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골절 사망률, 말기암 보다 높은 치명적 질환!

고관절 골절은 고령층에서 자주 발생하며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 이내 사망률이 20%가 넘습니다. 이는 말기 암보다 높은 수준이며 해마다 고관절 골절 환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에 의한 고관절 골절 사망률이 왜 치명적이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고관절 골절 원인

고관절 골절 사망률

고관절은 골반과 넓적다리뼈를 연결해 주는 관절입니다. 엉덩이 부근에 있는 관절이라고 해서 엉덩관절이라고도 부릅니다. 오른쪽과 왼쪽 다리에 하나씩 우리 몸에 2개가 있습니다.

65세 이상 고관절 골절 대부분의 원인은 단순 낙상에서 비롯됩니다. 뼈가 밀도가 낮아져 약해지는 골다공증을 방치하면 의자에 앉아 있다가 내려오면서 엉덩방아를 찧어도 골절이 쉽게 일어납니다.

2. 고관절 골절 사망률

  •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성 21.5%, 여성 15.5%
  • 척추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 남성 10.1%, 여성 4.3% (출처: 국민건강보험)
고관절 골절 사망률
출처: 메디칼 옵저버

3. 고관절 골절 사망률 왜 치명적일까?

그 이유는 합병증 때문입니다.

  • 한 번 골절이 발생하면 2차 골절 발생 위험도가 3배 이상 올라갑니다.
  • 회복될 때까지 장기간 누워 지내야 하는데, 이때 엉덩이 주변 피부에 욕창이 잘 생깁니다.
  • 욕창에 이어 폐렴, 요로감염 외에도 뇌졸중, 심근경색, 폐색전증 같은 질병도 추가로 발생하기 쉽습니다.
  • 요양병원에 있는 고관절 골절 환자들의 경우 영양실조, 치매, 신경쇠약 등을 얻어 돌아가시는 경우가 종종 일어납니다.

4. 고관절 골절 예방법은?

(1) 근감소증을 막아야 합니다!

나이가 들면 근육량이 줄어드는 근감소증 현상이 일어납니다. 근감소증도 하나의 질환으로 분류됩니다. 이를 방치하면 낙상과 골절 위험 증가, 당뇨병, 고혈압, 심뇌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 발생이 증가합니다.

예방 운동은 걷기와 스쿼트를 꾸준히 하면 좋습니다. 음식 또한 단백질 섭취가 중요합니다. 육류, 삶은 계란, 청국장, 두부, 무가당 요거트 등을 꾸준히 챙겨 드셔야 합니다.

근력운동
출처: 분당 차병원
걷기 운동
출처: 분당차병원

(2) 비타민 D3K2 영양제 섭취를 해야 합니다!

뼈 건강에 좋은 영양제로 먼저 칼슘제를 생각하기가 쉬운데 그건 절대 아닙니다. 칼슘보충제 단독 섭취 시 심혈관계 질환을 54% 증가시키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등 칼슘제 섭취로 인한 부작용 연구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출처: 코메디닷컴)

오히려 비타민 D3와 비타민 K2가 뼈 강도를 올리는 데 좋고 이 두 가지 비타민을 같이 복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복합영양제인 비타민 D3K2 영양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5. 결론

고관절 골절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예방법에 없습니다. 뼈가 약해지는 상태는 아무런 증상 없이 진행되기 때문에 골절을 겪고 난 뒤에 인식해봤자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꾸준한 근력운동과 비타민 D3K2 영양제 섭취로 자신의 뼈 건강을 지켜야 합니다.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