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더위는 ‘건강 위협’입니다

2025년 6월 말, 대한민국은 공식적으로 폭염 시즌에 진입했습니다. 서울, 경기, 광주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기온 33℃ 이상, 체감온도는 35℃에 달하는 날이 이어지고 있죠.
이러한 극한 더위 속에서 자주 나타나는 건강 이상 상태가 바로 ‘더위 먹음’, 즉 열탈진(heat exhaustion)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기운이 빠진 것 같아” 수준으로 여겨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번질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생명을 지킬 수도 있습니다.
✅ 더위 먹었을 때 증상, 이렇게 나타납니다
더위를 먹으면 신체가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 과도한 피로감, 무기력
- 두통, 어지러움, 집중력 저하
- 식욕부진, 구토, 설사
- 땀이 멈추고, 체온이 올라가는 느낌
- 맥박이 빨라지고, 의식이 혼미해질 수 있음
💡특히 고령자, 아이, 만성질환자는 더위 먹음이 열사병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즉시 실천할 수 있는 응급 대처법
🧊 1단계: 빠른 열 식히기
- 시원한 실내로 이동
가능하다면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이 닿는 곳으로 피신하세요.
옷은 헐렁하고 통풍 잘 되는 것으로 갈아입습니다. - 수분 & 전해질 보충
물만 마시는 것보다 이온음료나 소금 조금 탄 물이 효과적입니다.
(단, 당뇨/신장질환자는 의사 지시에 따르세요) - 냉찜질 또는 젖은 수건
목·겨드랑이·사타구니 등 큰 혈관이 지나는 부위를 차갑게 해주면 체온이 빠르게 내려갑니다.
🍲 2단계: 체내 회복 유도
- 자극 없는 식사
죽, 미음, 과일, 채소즙 등 소화에 부담 없는 음식으로 에너지를 보충하세요. - 충분한 수면
잠을 자는 동안 체온과 면역 기능이 회복되므로 실내 온도(26~27℃) 유지 후 숙면 권장
❓ Q&A: 더위 먹음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더위 먹었을 때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하나요?
A. 증상이 경미하면 자가 대처로 회복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1시간 이상 회복되지 않는 두통이나 구토
- 체온 38℃ 이상 유지
- 의식 저하, 경련, 심한 설사
Q2. 더위 먹음과 열사병은 어떻게 다른가요?
항목 | 더위 먹음 | 열사병 |
---|---|---|
체온 | 37.5~38.5℃ | 40℃ 이상 |
땀 | 흐름 | 없음(건조) |
의식 | 정상 or 약간 흐림 | 혼수·의식 소실 가능 |
조치 | 수분+냉찜질 | 즉시 119 후 병원 이동 |
📎 폭염 대비 건강수칙 요약
- 낮 12시~오후 4시 외출 자제
- 하루 수분 섭취량 최소 2L
- 에어컨 + 선풍기 병행 사용으로 체감 온도 하향
- 단백질·수분 풍부한 식사, 카페인·알코올 피하기
-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쉬고 수분 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