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진료 기간 병원·의원 이용방법 (2024년 3월~4월)

의사 집단행동에 따른 비상진료 기간 병원·의원 이용방법과 문 여는 의료기관 확인 방법, 약국 정보 확인 등은 응급의료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상진료 기간 모든 정보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또는 보건복지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가벼운 증상일 경우

병의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집에서 가까운 동네 병원이나 의원으로 먼저 가야합니다. 만약 상급종합병원에 가셔도 중증이 아니면 환자의 지역 병원이나 의원으로 옮겨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2. 비상진료 기간 병원·의원·약국 확인 방법

문 여는 의료 기관 확인은 응급의료포털 웹페이지 또는 휴대폰에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에 접속하면 됩니다. 응급의료정보제공 앱(E-Gen)은 휴대폰의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응급의료정보제공 앱(E-Gen) 사용법은 보건복지부 블로그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1) 일반 검색 방법 (시, 군, 구 단위별 검색)

비상진료 기간 비상진료 기관 검색 방법

검색하고자 하는 문 연 병·의원과 약국의 지역 설정→의료기관, 진료과목, 진료일 등을 입력→현재운영기관 검색 설정→병·의원, 약국 명을 입력→병·의원과 약국 중 선택

(2) 지도 검색 방법

비상진료 기간 비상진료 기관 검색

시/군/구, 반경, 정렬 등의 위치 정보 설정→의료기관, 진료과, 징료일 등 입력→현재운영기관 검색 설정→병·의원, 약국 명을 입력→병·의원과 약국 중 선택

3. 비상진료 기간 비대면 진료 받는 방법

  • 먼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에서 비대면 진료 가능 여부를 확인합니다.
  • 진료받고자 하는 의료기관에 비대면 진료를 신청합니다.
  • 환자는 사전 문진을 작성해서 의료기관에 개인정보 등을 전달합니다.
  • 전화나 화상으로 비대면 진료를 실시합니다.
  • 의사는 처방전을 발급해서 환자가 지정한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합니다.
  • 환자는 약국을 방문해서 조제한 약이나 의약품을 전달받습니다.

4. 자주 묻는 질문(FAQ)

  • 문 여는 병원과 의원, 약국 확인은 전화 문의로는 안 되나요?
    전화 문의도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129), 건강보험공단(1577-1000), 건강보험심사평가원(1644-2000) 또는 관할 보건소로도 연락하시면 됩니다.
  • 국립중앙의료원 야간 및 휴일 비상진료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평일 야간 17시 30분부터 20시까지, 휴일 9시부터 12시까지 비상 진료를 운영합니다.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